去る 4月日本の独島周辺海底測量騷動を背後で指揮するなど日本内大韓(対韓) 鷹派の代表走者で通じるAbe信條(安倍晋三) 官房長官が壬辰の乱以後朝鮮で日本に渡った韓国人の子孫なのが明かされて気を引いている.
このような事実は金忠植 <東亜日報> 論説委員が最近発刊した本 <悲しい列島-永遠な異邦人死完年の記録>(ヒョヒョングツルパン)で明かされたことで, 壬辰の乱直後の 1598年日本に引かれて行った陶工で日本の陶磁器終値を成すようになった心受官(沈寿官) 家門の 14台子孫をインタビューする過程で分かるようになった.
Abe母方のお父さんの弟(妹)である佐藤前総理が ‘告白’
が <悲しい列島>によれば, 心受官 14台は 1964年から 72年まで日本総理を勤めた佐藤エイサク(佐藤栄作・1901‾75)が死ぬこと 1年前自分を尋ねて来て佐藤家も壬辰の乱以後日本に渡って来た韓国係なのを直接告白したと明らかにしたというのだ.
佐藤エイサクはそれに先立ち 1957年から 60年まで日本総理を勤めた岸掻ブースするように(岸信介・1896‾1987, 佐藤性を生れついたが養子に行って姓が変わり)の実の弟で, Abe信條官房長官は岸前総理の外孫だ.
”佐藤さんの言うことが驚くべきだったです. 私には ‘あなたは日本へ来てからいくらもなったか’と問うから 400年近くなったと言ったら, ‘私たち家門はその後に渡って来た家’ということです. 半島のどの故障からいつ来たかは詳らかに分からないが, 自分の先祖が朝鮮から渡って来てYamaguchi(山口)に定着したという話だったです.”
心受官 14台は佐藤前総理が自分の家にビジョンされて来たこのような来歴を明らかにしてその席で書いてくれたきごうを 30年以上まさに彼と会った部屋に今までかけておいている. 佐藤は彼に ‘言葉にしなくても, 黙黙とあっても, 認めることはすべて認めて通じる’と言う意味の ‘黙而識之(ムックイジだ)’という言葉を書いてくれて去った. 論語のお酒が(述而)便に出る表現というの.
敢えて出場を計算しないとしても ‘ことは言わないがその事実が分かっている’と言う意味に解釈されてこのきごうを使う時佐藤前総理の心情を延ばして推し量ることができる.
こんなに見る時岸総理と佐藤総理はもちろんAbe長官にも韓国人の血管がまじているわけだ.
これと共にAbe長官のお父さんと同時に 80年代 4期連続日本外相を引き受けたAbeShintaro(安倍晋太郎)も韓国係が多いYamaguchi現出身という事実はAbeに韓国人の血が濃く流れていることを傍証する書き入れ時だ.
”対(対)韓半島鷹派先頭走者が韓民族後裔だなんて…”
Abe本名は 安晋三( Ahn sin jo)である可能性が多い
지난 4월 일본의 독도 주변 해저 측량 소동을 배후에서 지휘하는 등 일본 내 대한(對韓) 강경파의 대표주자로 통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이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인의 후손임이 밝혀져 관심을 끌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김충식 <동아일보> 논설위원이 최근 발간한 책 <슬픈 열도-영원한 이방인 사백년의 기록>(효형출판)에서 밝혀진 것으로, 임진왜란 직후인 1598년 일본에 끌려간 도공으로 일본의 도자기 종가를 이루게 된 심수관(沈壽官) 가문의 14대 후손을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알게 되었다.
아베 외할아버지의 동생인 사토 전 총리가 ‘고백’
이 <슬픈 열도>에 따르면, 심수관 14대는 1964년부터 72년까지 일본 총리를 지낸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1901~75)가 죽기 1년 전 자신을 찾아와 사토 집안도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건너온 한국계임을 직접 고백했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사토 에이사쿠는 그에 앞서 1957년부터 60년까지 일본 총리를 지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1896~1987, 사토 성을 타고 났으나 양자로 가서 성이 바뀜)의 친동생이고, 아베 신조 관방장관은 기시 전 총리의 외손자다.
”사토 씨가 하는 말이 놀라웠어요. 나한테는 ‘당신네는 일본에 온 지 얼마나 됐느냐’고 묻길래 400년 가까이 됐다고 했더니, ‘우리 가문은 그 후에 건너온 집안’이라는 거예요. 반도의 어느 고장에서 언제 왔는지는 자세히 모르지만, 자기네 선조가 조선에서 건너와 야마구치(山口)에 정착했다는 얘기였지요.”
심수관 14대는 사토 전 총리가 자신의 집안에 비전되어 온 이같은 내력을 밝히며 그 자리에서 써준 휘호를 30년 넘도록 바로 그와 만났던 방에 지금껏 걸어놓고 있다. 사토는 그에게 ‘말로 하지 않아도, 묵묵히 있어도, 알아줄 것은 다 알아주고 통한다’는 의미의 ‘默而識之(묵이지지)’라는 말을 써 주고 떠났다. 논어의 술이(述而)편에 나오는 표현이라는 것.
굳이 출전을 따지지 않더라도 ‘말은 하지 않지만 그 사실을 알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돼 이 휘호를 쓸 때 사토 전 총리의 심정을 미루어 헤아릴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기시 총리와 사토 총리는 물론 아베 장관에게도 한국인의 핏줄이 섞여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아베 장관의 아버지이자 80년대 4기 연속 일본 외무장관을 맡았던 아베 신타로(安倍晋太郞)도 한국계가 많은 야마구치 현 출신이라는 사실은 아베에게 한국인의 피가 짙게 흐르고 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대(對)한반도 강경파 선두주자가 한민족 후예라니…”
아베 본명은 安晋三( Ahn sin jo)일 가능성이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