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藤忠雄(78)は、建築界のノーベル賞と言われるプリツカー賞を1995年に受賞した日本を代表する世界的建築家だ。安藤忠雄にスポットを当てたドキュメンタリー『安藤忠雄』が最近観客動員数で3万人を突破して人気を呼ぶ中、韓国の国土交通部(国土部、日本の省庁に相当)が「ネクスト・プリツカー・プロジェクト」を発表した。「青年建築家が海外で先進諸国の設計技法を学ぶことができるように支援する」という計画だ。国土部は、アジアでプリツカー賞を受賞したのは中国人が1人、インド人が1人、日本人が8人だが、韓国ではまだ受賞者がいないという説明とともに「韓国もプリツカー賞を受賞できる世界的建築家を輩出するために、政府次元で積極的に努力する構え」と説明した。
しかし、建築界の反応は冷ややかだ。「それよりは江南区大峙洞に『プリツカー賞塾』を作るのはどうか」といった話が出るほどだ。受賞にだけあくせくしている政府が建築に対する無知をさらけ出したと指摘する声も上がっている。政府がプリツカー賞に熱を上げる理由は何なのか、そしてこれを建築家たちはなぜ冷笑するのか。ドキュメンタリー『安藤忠雄』はプリツカー賞について直接言及してはいないものの、その意味を振り返らせるには十分なメッセージが盛り込まれている。
ドキュメンタリーの中でカメラが向けられているのは、何も安藤忠雄だけではない。不可能に見える図面から実物を作り出す施工責任者、建築家さえ想像できなかったビジョンを提示する建築主が登場する。これらはエキストラではなく、良い建築物を共に作り上げていく主役たちだ。青年時代の安藤は何度も大阪市役所を訪ねるが、誰も相手にしてくれなかったという部分からは、公務員の人を見る目と開かれた姿勢も重要だということがうかがえる。
プリツカー賞も設計図ではなく、実際に建てられた建築物を見る。実際に建築過程全体が評価の対象だ。その過程でさまざまな利害関係を調整して適切なデザインで表現するのが建築家の役目だ。設計技法はその役目を遂行する一つの手段にすぎないのだ。
安藤が自分の作った空間を指して「昔で言えば縁側」と語る場面がある。日本の伝統建築における縁側とは、韓屋のテンマル(縁側)に近い。短大にも行けずに建築を独学で学んだ安藤が巨匠として褒めたたえられるのは、日本の伝統的空間を現代風に表現し、普遍性を獲得したからだ。プリツカー賞でも地域性という主題が、バルクリシュナ・ドシ(2018年、インド)、王ジュ(2012年、中国)のような近年の受賞者たちの作品からも共通して見受けられる。同賞が絶対的基準ではないが、設計技法よりは地域性に対して真剣に悩むその姿勢が、良い建築家としての資質につながっているという点を物語っている。
若い建築家をサポートするという趣旨は素晴らしいかもしれないが、その目標が賞を受賞するところにあっては困る。建築家をサポートすると言っ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建築家たちが反発している状況を国土部は重く受け止めなければならない。拙速に進められる設計公募展、時代錯誤的な法規、設計者のアイデアをずたずたに引き裂く建築審議。海外で学んできて賞を取れと言う前に、建築を取り巻く韓国の不毛な土壌から、まずは改善されるべきだろう。
チェ・ミンギ文化部記者
最終更新:6/9(日) 6:17
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headlines.yahoo.co.jp/hl?a=20190607-00080132-chosun-kr
無理だと思う・・・。(嗤)
あひゃひゃひゃ!
안도 타다오(78)는,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해지는 프리트카상을 1995년에 수상한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 건축가다.안도 타다오에 스포트를 맞힌 다큐멘터리 「안도 타다오」가 최근 관객 동원수로 3만명을 돌파해 인기를 끄는 중, 한국의 국토 교통부(국토부, 일본의 부처에 상당)가 「넥스트·프리트카·프로젝트」를 발표했다.「청년 건축가가 해외에서 선진 제국의 설계 기법을 배울 수 있도록(듯이) 지원한다」라고 할 계획이다.국토부는, 아시아에서 프리트카상을 수상한 것은 중국인이 1명, 인도인이 1명, 일본인이 8명이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수상자가 없다고 하는 설명과 함께 「한국도 프리트카상을 수상할 수 있는 세계적 건축가를 배출하기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할 자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건축계의 반응은 서늘하다.「그것보다는 강남구 대치동에 「프리트카상 학원」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수상에만 악착같이 하고 있는 정부가 건축에 대한 무지를 드러냈다고 지적하는 소리도 오르고 있다.정부가 프리트카상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것을 건축가들은 왜 냉소하는 것인가.다큐멘터리 「안도 타다오」는 프리트카상에 대해 직접 언급 하고 있지는 않기는 하지만, 그 의미를 되돌아 보게 하려면 충분한 메세지가 포함되어 있다.
다큐멘터리 중(안)에서 카메라를 향할 수 있고 있는 것은, 아무것도 안도 타다오 만이 아니다.불가능하게 보이는 도면으로부터 실물을 만들어 내는 시공 책임자, 건축가마저 상상할 수 없었던 비전을 제시하는 건축주가 등장한다.이것들은 엑스트라가 아니고, 좋은 건축물을 모두 만들어내 가는 주역들이다.청년시대의 안도는 몇번이나 오사카시 관공서를 방문하지만, 아무도 상대로 해 주지 않았다고 하는 부분에서는, 공무원의 사람을 보는 눈과 열린 자세도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 방문한다.
프리트카상도 설계도가 아니고, 실제로 지어진 건축물을 본다.실제로 건축 과정 전체가 평가의 대상이다.그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해 적절한 디자인으로 표현하는 것이 건축가의 역할이다.설계 기법은 그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수단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안도가 자신의 만든 공간을 가리켜 「옛날에 말하면 툇마루」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일본의 전통 건축에 있어서의 툇마루란, 한옥의 텐말(툇마루)에 가깝다.단기 대학에도 &지 못하고 건축을 독학으로 배운 안도를 거장으로서 칭찬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의 전통적 공간을 현대풍으로 표현해, 보편성을 획득했기 때문이다.프리트카상으로도 지역성이라고 하는 주제가, 바르크리슈나·드시(2018년, 인도), 왕쥬(2012년, 중국)와 같은 근년의 수상자들의 작품으로부터도 공통되어 보여진다.동상이 절대적 기준은 아니지만, 설계 기법보다는 지역성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는 그 자세가, 좋은 건축가로서의 자질로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점을 이야기하고 있다.
젊은 건축가를 서포트한다고 하는 취지는 훌륭할지도 모르지만, 그 목표가 상을 수상하는데 있어서는 곤란하다.건축가를 서포트한다고 말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 건축가들이 반발하고 있는 상황을 국토부는 무겁게 받아 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졸속에 진행되는 설계 공모전, 시대 착오적인 법규, 설계자의 아이디어를 갈기갈기 찢는 건축 심의.해외에서 배워 오고 상을 잡혀라고 하기 전에, 건축을 둘러싸는 한국의 성과가 없는 토양으로부터, 우선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최·민기문화부 기자
최종 갱신:6/9(일) 6:17
조선일보 일본어판
https://headlines.yahoo.co.jp/hl?a=20190607-00080132-chosun-kr
<iframe src="//www.youtube.com/embed/dvjwWSbX-Hw" class="note-video-clip" width="640" height="360" frameborder="0"></iframe>
무리이다고 생각한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