就職難の若者対策に“ばら撒き” ポピュリズムに舵を切る朴政権
ハンギョレ新聞 5月1日(日)15時2分配信
1人900万ウォンの政府版「青年手当て」
企業負担300万ウォンも政府のお金
正社員転換企業は別途390万ウォン
企業に出されるお金を青年に直接渡し
「生活費補助」の自治体手当とは異なる
青年失業率最悪の切迫性を反映
求人難の中小企業へ就職の目線を引き下げる
青年の資産形成に多目的な資金に
“シードマネー”の役割満たすか未知数
朴槿恵(パククネ)政権は昨年まで計5回の若者の雇用対策を打ち出した。しかし、今年3月の青年失業率が史上最高水準(11.8%)まで急激に上がった
ことから分かるように、若者は依然として厳しい就職難から抜け出せずにいる。長期低迷という経済環境で始まった側面が大きいが、相次ぐ政府対策が、これと
いった効果を出せずにいるためでもある。政府が27日発表した6番目の対策で、史上初めて国民の税金で作られる財政を青年のポケットに直接与える形の案を
出したのは、こうした現実を反映している。
政府版「青年手当て」とも呼べる「青年就業明日控除」は、中小企業でインターンを経た後、該当企業で正社員として2年間勤務する34歳以下の青年労働者
が対象となる。正社員転換後、毎月12万5000ウォン(約1万2千円)を2年間納付すれば、企業は同じ金額を、政府はこれより多い25万ウォン(約2万
4千円)を支援する。2年後に青年労働者が手にするお金は1200万ウォン(約116万円)と利子だ。
計画上では、青年が月12万5000ウォンを定額納付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暮らし向きが悪い青年には納入額を下げる方案も検討されている。また、2年後に資金受領をする前は中途解約はできない。
政府の実質的な負担は、青年労働者1人に出す月25万ウォンよりさらに多くなる。企業が出す月12万5000ウォンも、事実上、政府財政から出されるか
らだ。青年社員1人当たりに中小企業が2年間出す総負担金300万ウォン(約29万円)の税制支援をするだけでなく、インターンから正社員に地位を変えさ
せた中小企業には、別途の支援金390万ウォン(約38万円)を支給する。つまり、政府は中小企業に就職した青年1人当たり2年間で990万ウォン(約
96万円)を出し、このうち900万ウォンは青年のポケットに、残り90万ウォンは採用した中小企業に与えられることになる。
この方案は、政府が青年に直接お金を与えるという点で、ソウル市や城南(ソンナム)市など、一部の地方自治体で実施中の「青年手当て」と比較される。こ
れらの自治体の青年手当て政策をめぐり「ポピュリズム」と非難してきた政府が、突然立場を変えたとする反応もある。しかし、政府が青年に直接お金を与える
点を除けば、いくつかの自治体の青年手当とは性格が異なる。ソウル市などの青年手当は、生活難の環境にある青年の生活補助という側面が強い。
今回の対策は、中小企業の求人難を解消するため、青年の目線を下げさせ中小企業に就職するよう誘導するのが主な目的だが、青年の資産形成を助ける趣旨も含まれる。1200万ウォンが、青年が生涯増やしていくシードマネーの役割を果たすいう意味だ。
専門家らは、技術の急速な発達により雇用が減り、そのため現れる労働所得の後退現象が青年たちに大きな衝撃を与えると警告してきた。現在40代以上の人
は、若い時期に就職をして貯めた給料をシードマネーにして財産を増やすことができたが、今の20代にはそうした機会自体が減っている。こうした事情から、
政府が青年たちの資産形成を支援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が力を得てきた。不平等研究の権威者、アンソニー・アトキンソン・英ロンドン・スクール・オ
ブ・エコノミクス(LSE)教授は、青年手当てを「基礎資本」と「社会的相続」という概念で説明し、青年手当導入の必要性を強調した。
ただ、1200万ウォンが青年にシードマネーとして十分な水準かははっきりしない。適正なシードマネーの水準を推定して1200万ウォンに決定されたの
ではなく、財政状況と既存の類似事業を考慮して決定されたためだ。チャン・ユンジョン企画財政部・人材政策課長は「来年に支援対象を大幅に拡大する予定だ
が、支援金額の拡大や縮小は検討していない」と話した。
キム・ギョンラク記者(お問い合わせ japan@hani.co.kr )
http://headlines.yahoo.co.jp/hl?a=20160501-00024005-hankyoreh-kr
え~と・・・
これがいわゆる”創造経済”なんでしょうか?(嗤)
.jpg)
(2)(3).jpeg)
あひゃひゃひゃ!
취직난의 젊은이 대책에“장미 뿌려 ” 파퓰리즘에 키를 자르는 박정권
한겨레 5월1일 (일) 15시 2 분배신
1명 900만원의 정부판「청년 치료 」
기업 부담 300만원이나 정부의 돈
정사원 전환 기업은 별도 390만원
기업에 나오는 돈을 청년에게 직접 인도
「생활비 보조」의 자치체 수당과는 다르다
청년 실업률 최악의 임박성을 반영
구인난의 중소기업에 취직의 시선을 인하한다
청년의 자산 형성에 다목적인 자금에
“배정 머니”의 역할 채울까 미지수
박근혜(파크크네) 정권은 작년까지 합계 5회의 젊은이의 고용 대책을 분명히 내세웠다.그러나, 금년 3월의 청년 실업률이 사상 최고 수준(11.8%)까지 급격하게 올랐다
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젊은이는 여전히 엄격한 취직난으로부터 빠져 나가지 못하고 있다.장기 침체라고 하는 경제 환경에서 시작된 측면이 크지만, 잇따르는 정부 대책이, 이것과
말한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도 있다.정부가 27일 발표한 6번째의 대책으로, 사상최초째라고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지는 재정을 청년의 포켓에 직접 주는 형태의 안을
낸 것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정부판「청년 치료」라고도 부를 수 있는「청년 취업 내일 공제」는, 중소기업에서 인턴을 거친 후, 해당 기업에서 정사원으로서 2년간 근무하는 34세 이하의 청년 노동자
하지만 대상이 된다.정사원 전환 후, 매월 12만 5000원( 약 1만 2천엔)을 2년간 납부하면, 기업은 같은 금액을, 정부는 이것보다 많은 25만원( 약 2만
4천엔)을 지원한다.2년 후에 청년 노동자가 손에 넣는 돈은 1200만원( 약 116만엔)과 이자다.
계획상에서는, 청년이 월 12만 5000원을 정액 납부해야 하지만, 살림살이가 나쁜 청년에게는 납입액수를 내리는 분 안도 검토되고 있다.또, 2년 후에 자금 수령을 하기 전은 중도 해약은 할 수 없다.
정부의 실질적인 부담은, 청년 노동자 1명에 내는 월 25만원 보다 더 많아진다.기업이 내는 월 12만 5000원이나, 사실상, 정부 재정으로부터 나올까
들이다.청년 사원 1 인당에 중소기업이 2년간 내는 총부담금 300만원( 약 29만엔)의 세제 지원을 할 뿐만 아니라, 인턴으로 정사원에 지위를 바꾸어
중소기업에는, 별도의 지원금 390만원( 약 38만엔)을 지급한다.즉, 정부는 중소기업에 취직한 청년 1 인당 2년간에 990만원( 약
96만엔)을 내, 이 중 900만원은 청년의 포켓에, 나머지 90만원은 채용한 중소기업에게 줄 수 있게 된다.
이 방안은, 정부가 청년에게 직접 돈을 준다고 하는 점으로, 서울시나 죠난(손남) 시 등, 일부의 지방 자치체에서 실시중의「청년 치료」라고 비교된다.와
등의 자치체의 청년 치료 정책을 둘러싸「파퓰리즘」와 비난 해 온 정부가, 돌연 입장을 바꾸었다고 하는 반응도 있다.그러나, 정부가 청년에게 직접 돈을 준다
점을 제외하면, 몇개의 자치체의 청년 수당과는 성격이 다르다.서울시등의 청년 수당은, 생활난의 환경에 있는 청년의 생활 보조라고 하는 측면이 강하다.
이번 대책은,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때문에), 청년의 시선을 내리게 한 중소기업에 취직하도록(듯이) 유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취지도 포함된다.1200만원이, 청년이 생애 늘려 가는 배정 머니의 역할을 완수하는 말하는 의미다.
전문가등은,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의해 고용이 줄어 들어, 그 때문에 나타나는 노동소득의 후퇴 현상이 청년들에게 큰 충격을 준다고 경고해 왔다.현재 40대 이상의 사람
(은)는, 젊은 시기에 취직을 해 모은 급료를 배정 머니로 하고 재산을 늘릴 수 있었지만, 지금의 20대에는 그러한 기회 자체가 줄어 들고 있다.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하는 주장이 힘을 얻어 왔다.불평등 연구의 권위자, 앤터니・앳킨슨・영런던・스쿨・오
브・경제학(LSE) 교수는, 청년 치료를「기초 자본」와「사회적 상속」라고 하는 개념으로 설명해, 청년 수당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단지, 1200만원이 청년에게 배정 머니로 해서 충분한 수준인가는 확실치 않다.적정한 배정 머니의 수준을 추정해 1200만원으로 결정되었어
(이)가 아니고, 재정 상황과 기존의 유사 사업을 고려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장・윤젼 기획 재정부・인재 정책 과장은「내년에 지원 대상을 큰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원금액의 확대나 축소는 검토하지 않은」라고 이야기했다.
김・골라크 기자(문의 japan@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