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企業に5-10年間の長期ロードマップなし」
【特集】色あせる「メード・イン・コリア」神話
「追い求めるのはボタン押しさえすればいい技術ばかり」
短期で成果挙がらない技術投資はCEOにとって「金食い虫」
ますます広がる短期成果主義も、韓国企業が源泉技術を確保するため思い切った投資をしない原因の一つだ。2-3年の任期内に具体的な実績を出さなければならない最高経営責任者(CEO)にとって、将来の技術への投資は「金食い虫」に過ぎないというのだ。
自動車業界のあるCEOは「専門経営者にとって最も重要なのは年間実績。会社にあるのは今後2年間のロードマップだけで、5-10年の長期ロードマップは 皆無の状況だ」と言った。サムスン系列企業の社長クラスの人物は「新技術投資の提案があっても、簡単には採用できない。(新技術に投資すると)すぐに会社 の株価が下がると言われる」と語った。
専門家たちは、LG電子がスマートフォン事業に対する初期対応が遅れたせいでひどく 苦戦しているのも、短期成果主義と関連していると見ている。2009年の「チョコレートフォン」「プラダフォン」などのフィーチャーフォン(従来の携帯電 話)で大きな利益を挙げたため、スマートフォン事業への転換をためらったというのだ。事実、LG電子の社内では当時、「技術よりもマーケティングを中心に しろ」という米国的な成果主義が経営方針になっており、成功するかどうか分からないスマートフォンに思い切って投資するのを避けようとしていた。
短期成果主義が企業の研究・開発(R&D)戦略を阻む事例もある。ある自動車メーカーの研究者は「『品質マネジメント』という名目で量産技術のR&D人材 ばかり集め、肝心の将来の技術については全く準備できていない。販売実績はすぐに伸ばせるが、10-20年後の市場は奪われることになる」と言った。
こうした韓国企業とは違い、トヨタは短期的成果に左右されずに、将来の市場に備える組織改革を進めている。10年後に生産する車に備える「先行技術開発組 織」を量産技術開発組織から分離・独立させたのだ。また、昨年11月には米国に人工知能を研究するトヨタ・リサーチ・インスティチュート(TRI)を設立 した。本社と完全に分離して独自に運営されているこの組織に、トヨタは今後5年間で約10億ドル(約1090億円)を投資する。
数年前に韓国の大企業に技術を移転したある教授は「ボタンを押すだけで、またはキーをひねるだけでできる技術ばかり追い求める今の風潮では、絶対に韓国企業は独自技術を蓄積できない」と指摘した。
朴淳燦(パク・スンチャン)記者
朝鮮日報/朝鮮日報日本語版
http://www.chosunonline.com/site/data/html_dir/2016/04/29/2016042901058.html?ent_rank_news
あのなぁ 体質はそう簡単に変えられないぞ
何せ「体質」なのだからな(嗤)
![](/UploadFile/exc_board_68/2016/04/29/20100130013638f96.jpg)
![](/UploadFile/exc_board_68/2016/04/29/137549893396.jpeg)
あひゃひゃひゃ!
「한국 기업에 5-10년간의 장기 도로지도 없음 」
【특집】퇴색하는「메이드・인・코리아」신화
「추구하는 것은 버튼 누르기만 하면 괜찮은 기술(뿐)만 」
단기에 성과 오르지 않는 기술 투자는 CEO에 있어서「돈 깔봐 벌레 」
더욱 더 퍼지는 단기 성과주의도, 한국 기업이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때문에) 대담한 투자를 하지 않는 원인의 하나다.2-3년의 임기내에 구체적인 실적을 내지 않으면 안 되는 최고 경영 책임자(CEO)에게 있어서, 장래의 기술에의 투자는「돈 깔봐 벌레」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다.
자동차 업계가 있는 CEO는「전문 경영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간 실적.회사에 있는 것은 향후 2년간의 도로지도만으로, 5-10년의 장기 도로지도는 전무의 상황이다」라고 말했다.삼성 계열 기업의 사장 클래스의 인물은「 신기술 투자의 제안이 있어도, 간단하게는 채용할 수 없다.( 신기술에 투자하자) 곧바로 회사 의 주가가 내린다고 말해지는」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LG전자가 스마트 폰 사업에 대한 초기 대응이 늦은 탓으로 몹시 고전하고 있는 것도, 단기 성과주의와 관련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2009년의「초콜릿 폰」「프라다폰」등의 feature 폰(종래의 휴대전 이야기)로 큰 이익을 들었기 때문에, 스마트 폰 사업에의 전환을 싶은들 라고 한다.사실, LG전자의 사내에서는 당시 , 「기술보다 마케팅을 중심으로 해라」라고 하는 미국적인 성과주의가 경영방침이 되어 있어, 성공할지 모르는 스마트 폰에 과감히 투자하는 것을 피하려 하고 있었다.
단기 성과주의가 기업의 연구・개발(R&D) 전략을 막는 사례도 있다.있다 자동차 메이커의 연구자는「『품질 매니지먼트』라고 하는 명목으로 양산 기술의 R&D인재 (뿐)만 모아 중요한 장래의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준비 되어 있지 않다.판매 실적은 곧바로 늘릴 수 있지만, 10-20년 후의 시장은 빼앗기게 되는」라고 말했다.
이러한 한국 기업과는 달라, 토요타는 단기적 성과에 좌우되지 않고 , 장래의 시장에 대비하는 조직 개혁을 진행시키고 있다.10년 후에 생산하는 차에 대비하는「선행 기술개발조 직」를 양산 기술개발 조직으로부터 분리・독립시켰던 것이다.또, 작년 11월에는 미국에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토요타・리서치・협회(TRI)를 설립 했다.본사와 완전하게 분리해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이 조직에, 토요타는 향후 5년간에 약 10억 달러( 약 1090억엔)를 투자한다.
몇 년전에 한국의 대기업에 기술을 이전한 있다 교수는「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또는 키를 비트는 것만으로 할 수 있는 기술만 추구하는 지금의 풍조에서는, 절대로 한국 기업은 독자 기술을 축적할 수 없는」라고 지적했다.
박순찬(박・슨체) 기자
조선일보/조선일보 일본어판
http://www.chosunonline.com/site/data/html_dir/2016/04/29/2016042901058.html?ent_rank_news
그체질은 그렇게 간단하게 바꿀 수 없어
여하튼「체질」이기 때문에(치)
![](/UploadFile/exc_board_68/2016/04/29/20100130013638f96.jpg)
![](/UploadFile/exc_board_68/2016/04/29/137549893396.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