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히 정권 비판・재벌 비판의 코스에 들어 온 w (^ω^)
[시론]삼성과 멜스 공화국
우석균|보건의료 단체 연합 정책 위원장・건강 과대안부대표
입력:2015-06-08 20:39:15|수정:2015-06-08 20:47:09
옛 쿄토의벼슬아치 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6082039155&code=990303
지금 전국이 삼성 병원발멜스 2차 확산에 신경을 곤두세울 수 있고 있다. 삼성 서울 병원 응급실에서 발생한 멜스 환자가 이 병원 그 병원을 어떤 관리도 받지 않은 채 걸어 다니고 있기 (위해)때문이다. 전국의 병원이 삼성 병원을 들른 환자가 오는지 온 신경을 곤두세울 수 있다. 왜 이와 같이 된 것일까.
지난 2일 관계 장관회의 이후 문・홀표 보건복지부 장관은‘멜스 확산 방지 강화 대책’를 발표해“멜스 환자가 특정 병원내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므로“감염이 발생한 병원에 대해서는 병원 또는, 병동 자체를 격리할 계획”와 분명히 했다. 이와 같이 해 대전(대전)의 건양(코날) 큰 병원과 대전 병원의 병원 또는, 병동이 격리되었다. 지금까지 환자가 발생한 의료 기관 6개중 5개는 병동이나 병원, 또는, 환자와 방문자가 격리되어 관리되었다. 그런데 예외가 있었다. 삼성 서울 병원이다. 왜 예외였구나.삼성이므로?
이른바 14번 환자가 머문 5월 27~29일 삼성 병원 응급실에 있던 의료 스탭을, 환자가 확인된 29일부터 곧바로 격리했는가. 다르다. 삼성 병원 의사인 이른바 35번 환자가 31일 오전까지 회진을 했다는 것을 스스로 분명히 했다.
이후에는 어떤가. 삼성 병원의 응급실에 들른 환자와 보호자 675명이 격리되었다고 한다. 삼성 서울 병원 응급실에는 1년에 6만명 이상의 환자가 와 원 한다고 알았다. 하루 평균 환자가 160명을 넘는다. 보호자와 문병해 손님을 생각해 보면 3일간 675명이라고 하는 격리 대상자는 전체 숫자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관리되지 않았던 환자 탓으로 다양한 병원・의원이 큰소란이다. 즉시 멜스 환자가 들른 건국(콩크) 큰 병원이 환자가 이야기하지 않는 삼성 서울 병원 방문 병력을 정부도 아닌 삼성 서울 병원에 확인했다고 한다. 그리고 건국(콩크) 큰 병원에서 수많은 의료 스탭과 환자가 격리되었다. 정부는 어디에 있을까.
7일 오전 문 장관은“우리가 빨리 파악했고 삼성 병원도 충분히 그것의 심각성을 인식”와“어쨌든 빨리 철저한 모니터링망을 만들어 그 사이 쭉 관리해 온”라고 대답했다. 누가 환자를 관리했다는 것인가 잘 모른다. 삼성인가 정부인가. 누가 있는 관료인가, “어쨌든”그 관리는 올바르게 되지 않았다.또, 장관은“이러한 감염이 일어난 것은 벌써 2주일전”로 하면서 삼성 병원 응급실을 안심해 이용하라고 요청까지 했다. 그런데 5월 27~29일은 2주일전이 아니다. 삼성만 만나면 왜 장관이 일계산까지 잘못하는 것일까.
삼성 병원은 한국의 방역 체계로 예외였다고 이야기하면 과잉일까. 삼성 병원이 예외가 아니었다고 하면 지금 국민모두가 삼성 병원발멜스 2차 발병이 어디까지 퍼지는지를 조마조마한 기분으로 바라보지 않으면 안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환자가 2회도 확 진찰해 된 삼성 병원 감염에 대한 정부의 역학 조사가 지금까지 온전히 성립되지 않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질병 관리 본부에서조차 들려 온다.
X파일 사건, 반도체 백혈병 사건, 태안(테안) 기름 유출 사건, 즉시 생각나게 할 수 있는 이 모든 사건과 사태로 삼성은 언제나 예외이며 법 위에서 군림해 왔다. 이제(벌써) 우리는 삼성이 하나의 나라들민의 생명이 걸린 멜스 사태로조차 예외가 되어 법 위에 군림하는 사태를 눈앞에서 보고 있다.과연 삼성 공화국이다.
그리고 확실히 그 삼성이 지금까지 의료가 돈을 돈을 버는 산업이 되지 않으면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해 왔다. 영리 병원을 허용 하고, 건강 보험 당연히 지정제를 폐지하고, 민영 보험을 활성화 해야 한다는 것이 삼성의 일관한 주장이었고 그대로 정부 정책으로 관철되어 왔다.
공공 병원의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이73%인데 한국은10%다. 지금 국가 지정 격리 병상이 100개 남짓의 이유다. 건강 보험 보장성은50%가 조금 넘어 미국과 같이 에 가깝다. 그런데도 의료를 한층 더 시장에 맡기려는 삼성의 의료 영리화 정책이 이 나라의 지금까지 정책이었고, 박・쿠네 정부도 이것을 억누르고 있다.
그것만인가. 의료 수출을 앞두고 낸 제주도(제주도)와 경제 자유 구역 8개소의 영리 병원 허용이 멜스 직전까지 추진중이었다. 삼성이 먼저 선 원격 의료도 모델 사업이 추진중이다. 이 의료 영리화 정책, 공공 의료 부재가 현재 수십명의 고위험 감염 병환자만으로도 입원하는 곳을 찾을 수 없는 한국 공중 보험의료체계 파산을 낳았다.
삼성 공화국이 이제(벌써) 멜스 공화국을 낳고 있다. 도대체 이 삼성 공화국을 언제까지 향후를 볼까.
[사설]멜스 2차 유행 삼성 서울 병원 미스터리 분명히 해야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6082036155&code=990101
삼성 서울 병원이 그저께 발표한 중동 호흡기 증후군(멜스) 환자 발생과 대응 내용은 불충분 이 이상 없다.최첨단 의료 시설과 유명 의료 스탭을 갖춘 일류 병원이 왜 멜스 2차 유행의 본거지가 되었는지 의문 투성이다.국민적 의혹을 풀어 정확한 멜스 대처를 위해서 진실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첫번째의 의문은 병원의 대처가 적절했던인가다. 병원측은 회견에서 지난 5월 30일 14번 환자의 멜스 감염 확인 후 의료 스탭과 환자 등 수백명에 대해서 필요한 격리 조치를 취했다고 분명히 했다. 그러나 이 병원 의사인 35번 환자는 격리 통지를 받을 수 없었고, 고열 증상이 나타나자마자 스스로 자가 격리를 했다. 멜스 증상이 나타난 후 회진도 했다. 그는“병원 질병 관리실 담당자에게 전화해 멜스 감염의 가능성을 언급했는데‘그렇게 할 리가 없는’로 대답한”라고 이야기했다. 병원측이 거짓말하는 것인가, 35번 환자의 기억이 잘못한 것인가 확인할 필요가 있다.어느 쪽으로도 병원측 감염병 대처가 허술했다고 말하는 사실은의 같지만 어느 쪽측이 잘못할까에 의해 격리 대상 규모는 큰 차이를 있을 수 있다.
삼성 서울 병원에 대한 보건 당국의 특별 대우 의혹도 규명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의혹은 양측이 공개한 정보가 크게 달랐더니 시작된다. 병원측은 5월 30일 의료 스탭과 환자 등 893명을 격리 조치했다고 분명히 했지만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격리 대상자는 6월 2일 791명, 6월 3일 1364명이었다. 삼성 병원측 격리 대상자를 제외했다고 볼 수 밖에 없다. 복지부는 35번 환자 발생 사실도 확 진찰해 후 이틀 늦게 공개해 은폐 의혹을 샀다. 이후 발병한 삼성 병원 의료 스탭 2명에 대해서도 확 진찰해 앞으로3일이 지나야만 공개했다. 복지부는“재검증이 필요했던”라고 해명했다. 다른 의료 기관의 경우, 의심되는 환자때부터 공개한 것과 달리“삼성 서울 병원은 성역인가”라고 하는 이야기까지 돈다.
멜스 2차 유행을 두어 제기된 보건 당국과 삼성 서울 병원의 유착 의혹은 애매하게 간과하는 것으로 않는다.보건 당국이 병원에 대한 관리를 포기한 순간 격리 대상이 자유롭게 대규모 행사 장소를 방문해 타병원을 걸어 다녔기 때문이다. 2차 유행으로 멜스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졌다고 하는 분석은 여기서 나온다. 보건 당국과 삼성 서울 병원은 구멍을 비울 수 있었던 방역 체계를 바로잡아 격리 대상을 찾는 작업을 즉시 시작하는 것을 바란다.유착 의혹에 대한 조사와 진실 규명은 해당 국가기관이 하는 것이다.
박근혜의 방미 직전에,
쿠네와 삼성이 MERS를 장미 뿌리고 있는 광고가 미국의 신문을 장식하는 것입니까?
(・∀・) ニヤニ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