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근처의 공원에 꽃놀이에 다녀 왔습니다.
만개의 사쿠라를 바라보면서, 도시락을 먹거나 맥주를 마시거나 ・・・.
그런데, 이 공원의 벚꽃은 왕벚꽃나무입니다.
착각 하고 있는 청조토인이 있는 것으로.
조금 길어집니다만, 미국 농무성이, 왕벚꽃나무와 한국산왕앵을, DNA에 의한 비교 감정한 결과를 소개해 둡시다.
http://www.ars.usda.gov/research/publications/publications.htm?SEQ_NO_115=205306
【원문 】
ubmitted to: Scientia Horticulturae
Publication Type: Peer Reviewed Journal
Publication Acceptance Date: May 25, 2007
Publication Date: June 5, 2007
Citation: Roh, M.S., Cheong, E.J., Choi, I-Y and Young, Y.H. 2007. Characterization of wild Prunus yedoensis analyzed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 and chloroplast DNA. Scientia Hort. doi:10.1016/J.scientia 2007.06.005.
Interpretive Summary: Yoshino cherry (Prunus × yedoen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namental Prunus species in landscapes around the world. There are debat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is species and a taxon from Korea. Some believe the Korean taxon is related to one of Yoshino cherry hybrids. Parentage of Yoshino cherry hybrids has also been confusing and was reported to be a hybrid between the double white-flowered P. speciosa and the single pink-flowered P. subhirtella. Based on the differences of amount of hairs on calyx lobes and shorter peduncles, P. yedoensis was considered different from Yoshino cherry hybrids.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the taxonomic identity of Korean taxon and Japanese hybrids of Yoshino cherry using molecular markers and from chloroplast DNA. This study showed that Prunus japonica var. nakaii, P. buergeriana, and P. maximowiczii were not genetically related to P. yedoensis. Accessions belonging to each of P. serrulata var. spontanea, P. serrulata var. pubescence, and P. sargentii were not closely related, but were each closely related to P. yedoensis and P. ×yedoensis. In conclusion, it appears that the Korean taxon, P. yedoensis, can be considered different from Yoshino cherry hybrids.
Technical Abstract: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of the wild species of Prunus and to attempt clarify the identities of taxa referred to as P. yedoensis Matsum. that grows under natural environments in Jeju, Korea and of Yoshino cherry hybrids (cultivars of hybrid origin of P. × yedoensis) that grows only in cultivated conditions in Japan and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axa. Prunus yedoensis and other species collected from natural habitats from Jeju, Korea and cultivated materials of Yoshino cherries from Tokyo and Washington, D.C., were analyzed with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and sequence analysis of two chloroplast DNA (cpDNA) genes, rpl16 and trnL-trnF spacer. Depending on the source of Yoshino cherry, accessions show variations with ISSR and cpDNA. Prunus japonica var. nakaii (H. Lev.) Rehder, P. buergeriana Miq. P. maximowiczii Rupr. are not considered genetically related to P. yedoensis. Accessions belonging to each of P.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 H. Wilson, P.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i, and P. sargentii Rehder were not clustered together, but grouped closely to P. yedoensis and Yoshino cherry accessions. However, some Yoshino cherry accessions showed the same rpl16 haplotype of AA at the position of 113 and 206 which were found in four out of 21 P. yedoensis accessions. Seventeen accessions of P. yedoensis showed rpl16 haplotype of TA at these positions. Putative parental taxa for both P. yedoensis and Yoshino cherry hybrids could not be revealed by ISSR and nucleotide indels. However, P. yedoensis native to Korea can be considered different from Yoshino cherry of hybrid origin from Japan based on ISSR markers and rpl16 haplotypes.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Korean taxon currently referred to as P. yedoensis can be considered sufficiently distinct to warrant recognition as a distinct entity.
Project Team
Conrad, Kevin
Publications
Publications
Related National Programs
Plant Genetic Resources, Genomics and Genetic Improvement (301)
Last Modified: 03/30/2013
【기계 번역 by google】
Scientia Horticulturae:에 ubmitted
퍼블리케이션의 종류:동료의 평가잡지
출판물의 수입일:2007년 5월 25일
발행일:2007년 6월 5일
인용:노MS, 정, EJ, 최, IY와 영, YH 2007년.상호 단순 반복 배열과 엽록체 DNA에 의해서 분석 야생 왕벚꽃나무의 캐릭터. Scientia 홀트. DOI:10.1016/J.scientia 2007.06.005.
인타프리티 개요:왕벚꽃나무(사쿠라×왕벚꽃나무)는 온 세상의 풍경 중(안)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관상용 사쿠라속의 종의 하나입니다.이 종은, 한국으로부터의 분류군의 차이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일부는 한국의 분류군은, 왕벚꽃나무의 잡종의 1에 관련하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왕벚꽃나무의 잡종의 부모와 자식 관계도 혼란하고 있어, 이중의 흰 꽃이 피는 P.노망과 싱글 핑크의 꽃이 피는 P. subhirtella간 잡종인 것이 보고되었다.꽃받침렬편과 짧은 꽃무늬의 털의 양의 차이에 근거하고, P., 왕벚꽃나무 왕벚꽃나무는 잡종과는 다르다고 생각되었다.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분류군과 왕벚꽃나무의 일본인 하이브리드 분자 마커를 이용하고, 엽록체 DNA로부터의 분류학상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려고 하는 것이다.이 연구는, 사쿠라속쟈포니카 var를 나타냈다. nakaii, P. buergeriana, 및 P. maximowiczii는 유전적으로 P·왕벚꽃나무와는 관계 없었습니다. P. serrulata var의 각각 속하는 악 세션. spontanea, P. serrulata var가 있습니다.연모, 및 P. sargentii는 밀접하게 관련하지 않았습니다가, 각각 밀접하게 왕벚꽃나무 P.(와)과 P.×왕벚꽃나무에 관련하고 있었다.결론으로서 한국의 분류군은, P.왕벚꽃나무는, 왕벚꽃나무의 잡종과는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기술 개요:본연구는, 장미과사쿠라속의 야생종의 관계를 확립하면 P.왕벚꽃나무 Matsum로 불리는 분류군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하게 하려고 하기 위해서 개시되었다.그것은, 일본에서 재배 조건하에서만 성장해, 스테이터스 및 이것들 2 분류군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그(P.×yedoensis의 잡종 기원의 품종) 제주, 한국에서 왕벚꽃나무의 잡종의 자연 환경아래에서 자란다.사쿠라의 왕벚꽃나무나 다른 종은 상호 단순 반복 배열(ISSR) 마커, 및 2 엽록체 DNA(엽록체 DNA) 유전자의 배열 해석을 이용해 분석한, 제주도, 한국, 도쿄와 워싱턴 D.C.(으)로부터 요시노 체리의 재배 원료로부터 자연의 생식지로부터 수집, rpl16와 trnL-trnF 스페이서-.왕벚꽃나무의 소스에 따라서는, 악은 ISSR와 엽록체 DNA와의 변화를 나타낸다.사쿠라속쟈포니카 VAR. nakaii(H.리플렉스 카메라.) Rehder, P. buergeriana Miq. P. maximowiczii Rupr.유전적으로 P·왕벚꽃나무에 관련은 고려되지 않습니다. P. serrulata var의 각각 속하는 악 세션. spontanea(맥심) E·H·윌슨, P. serrulata var가 있습니다. pubescens(마키노) Nakaii, 및 P. sargentii Rehder는 함께 클러스터화 됩니다만, P의 왕벚꽃나무와 왕벚꽃나무의 악 세션과 긴밀히 그룹화 되고 있지 않았습니다.그러나, 몇개의 왕벚꽃나무 악 21의 P.왕벚꽃나무의 악 세션중 4명이서 발견된 113으로 206의 위치에 AA의 같은 rpl16하 프로 타입을 나타냈다. P. yedoensis의 세븐 틴 악은 이러한 위치에 TA의 rpl16하 프로 타입을 나타냈다. P.왕벚꽃나무와 왕벚꽃나무의 잡종의 양쪽 모두를 위한 추정부모의 분류군은 ISSR와 뉴클레오티드 인 델에 의해서 분명히 할 수 없었습니다.그러나, 한국에 자생 P.왕벚꽃나무는 ISSR 마커 및 rpl16하 프로 타입에 근거하는 일본으로부터 하이브리드 기원의 왕벚꽃나무와는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그것은현재 P.왕벚꽃나무로 불리는 한국의 분류군은 개별의 엔티티로서 인식을 정당화 하는데 충분히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결론 붙일 수 있다.
프로젝트 팀
콘라드, 케빈
출판물
출판물
관련하는 국가 프로그램
식물 유전 자원, 게놈 해석과 유전적 개량(301)
최종 갱신일:2013년 3월 30일
(이)라는 것입니다(치)
!
花見に行ってきた
꽃놀이에 다녀 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