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

ノリゲの起源


ノリゲの起源は三国時代腰牌で捜すことができるのに腰牌は 上衣に腰巻をかけてその腰巻に多くの種類の飾りをつけることだ


新羅高麗朝鮮時代を経ちながら 上衣のチョゴリ長さが短くなって三国時代には腰につけたことを

朝鮮時代にはチョゴリうみにぶら下げるとかスカート腰に縛るようになった一般的にチョゴリうみにつける場合がもっと多かった

これは高麗時代ノリゲだ


美しい五方色とお針の跡が残っている針集ノリゲだ

18個の織物が切れ彫り編むよあって織物には金糸(金糸)の自首(刺繍)柄が刻まれている


忠南青陽長谷寺 (長谷寺)の仏像 (金銅薬師如来座像)の梨の中で発見された

長谷寺は 850年新羅 文聖王 の時に初めて建てられたがノリゲの発見された仏像は 14世紀高麗時代に製作されたと言う


高麗道警(高麗図経)によれば高麗時代貴婦人たちは腰巻にグムタック(金鐸) 金香嚢 (金香嚢)を着したという記録がある


朝鮮時代ノリゲ


韓服のチョゴリうみ(上衣 服裾を固定させるために縛る紐)にぶら下げるとかスカート腰に縛った飾りだ

単作 ノリゲは 1個のノリゲを言うことで ,ノリゲを 3個縛って飾ったことは 三作ノリゲ, 5個を縛って飾ったことは 五作 ノリゲと言う


ノリゲは偶数で縛らないで奇数で縛って飾る

ノリゲは実用的目的のノリゲがあって飾り用が目的なノリゲがある


1,.実用的ノリゲ


実用的ノリゲには <雄途(粧刀)ノリゲ> ,<沈痛(鍼筒)ノリゲ>, <針家ノリゲ> ,<香匣ノリゲ>などがある



淑明女子大博物館雄途(粧刀) ノリゲ


1) 雄途(粧刀)ノリゲ ← 雄途は身に持って通う小さな刀なのに身を保護するための護身用に利用された

雄途(粧刀)ノリゲは価格が高くて上流層で主に使った


2) 沈痛(鍼筒)ノリゲ :←鍼を入れて通うことでウンググブシエ使われた




国立民族博物館 .針集 刺繍 ノリゲ


3) 針集ノリゲ :←針集は針を保管するための用具だ布で作った懐に針を入れて保管するのに

針がさびないように分家塁を入れたりする

女性たちが針を捜しやすくて携帯しやすいようにノリゲで作った飾り用でもなって実用的になるノリゲ


4) 香匣(香匣)ノリゲ ← 香匣は香を盛った 匣だ香は四向オックツダン木香などを使った


香りがある四向などを薬草と交ぜて練って作った漢沖香(漢沖香)を金糸で編んで白いマルチォングで作った家に入れて

ノリゲで作って携帯するのに便利にさせた香匣ノリゲは香りが出る機能もなって応急の時に求急薬で使うことができた


香匣の形態は表面が硬くて四角正しい箱形態または丸い形態の原型がある

文様は蝶コウモリ蝉石榴遷都投壷(投壷), ファズン(花), 犀角(犀角 )などの形態がある



1815年製作された平壌芸者ギェワルヒャング [桂月香]

壬辰の乱当時日本軍長寿小西ヒ [小西飛]を打ち首にするのに功を立てて自決したと言う

チョゴリうみによるノリゲは 香匣 ノリゲと言う



朝鮮時代 1750年. 刺繍 便服香匣(香匣) ノリゲ


2 .飾り用のノリゲ



飾り用ノリゲには ,<穀物をつく臼足ノリゲ>, <刺繍ノリゲ><虎足指の爪ノリゲ> <三遷株ノリゲ><投壷ノリゲ>などがある


1) バンア橋ノリゲ :←女性所有の農機具穀物をつく臼をノリゲに移したことなのにノリゲのように仕事を愛しなさいという意味と言う


2) 自首(刺繍)ノリゲ ←主に庶民層で愛用された

お母さんたちのお針腕前で布に 刺繍をおいて飾った


3) 虎足指の爪ノリゲ :←虎は恐れの対象でもあるが竜と共に神聖な存在で思った

鋭い足指の爪は悪い事を阻んでくれて悪鬼を追い払ってくれると信じた

実際に虎足指の爪は求めにくいから 銀 など材料を使って虎足指の爪模様を作ってノリゲの主体で使った


石柱船記念館 ..< 銀投壷 三作 ノリゲ > 朝鮮時代 1700年


4) 投壷ノリゲ :←決まった距離(通り)を維持してかめをおいてそのかめ中に矢を投げこむ遊びだ

が遊びは宮廷の王族や宮女たちも楽しんだかめ中に額(厄)を盛って追うという意味と言う




国立中央博物観 .三遷株 (三千珠)ノリゲ


5) 三遷株 (三千珠)ノリゲ :← 大きい真珠 3個の玉を通して大さじにつけるノリゲだ

三千は仏教で巨大な宇宙すなわち三千大千世界を言う

三遷株ノリゲは王妃だけ着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なのに妓女たちも隠密に使ったと言う


18世紀画家申潤福 [申潤福]の美人図


ノリゲを触っていてこの絵のノリゲは朝鮮時代王妃だけ着することができた三遷株(三千珠) ノリゲで見当がつく

三遷株ノリゲは王妃だけ着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なのに妓女たちも隠密に着したと言う


朝鮮時代妓女

右側女性サムザックノリゲを着している

が写真は 1904年露日戦争当時取材のために朝鮮へ来たアメリカの作家 (ジャックロンドン)が取ったと言う

参照で身分が高い両班や宮廷女人たちはスカートを縛ってあげない


当時朝鮮へ来た西洋宣教師や記者作家たちが撮った女性写真は大部分庶民や妓女写真だ

両班奥さんたちは外出がお上手ではなかったし .また外国人男たちを見れば逃げるとか避けたから声を掛けるとか

写真を撮りにくかったと言う

ドムルなの両班集奥さんたちに会っても写真を撮るのを拒否する場合が多かったと言う

平安北道自省君女性たち .1912年


妓女

ノリゲ佩用している



1930年代写真

頭に花冠を使ってノリゲを着した女性2人は妓女と言う

スカート腰にノリゲを縛った


エリザベトキスの絵朝鮮の王女



栄親王妃単作(単作)ノリゲ


左側から 1. <密話不寧 (蜜花 仏手) ノリゲ> . 2 <白玉 双蝶ノリゲ > 3. <珊瑚ノリゲ>


1. 蜜花 仏手 ノリゲ


仏手が主体になる単作ノリゲ

密話(蜜花)を使って 仏手 形態で作ってその不寧(仏手)上に牡丹とコウモリ 2匹が彫刻されていて上部にはメッキされた

はを網紗技法で作ってふたのように覆った

ふた部位には両方面に梅 2個ずつはっぱを表現した


梅は多くの重で表現したが下の表現された梅は板金を作ってその上をビツィモ(翡翠毛 : カワセミの毛 )で飾った

上に表現された梅は網紗技法で処理した後中央に小さな珊瑚を付けた


密話(蜜花) 小麦方へ広がった一葉にはビツィモ(翡翠毛)で飾ったティドンには白玉版(白玉板)に正面を向けた竜を透彫して入れた.


結び目は宮の中で主に使われるクンモックノ−リゲとしてドロックセック紐で養生側結び目. 到来結び目 , セングチォック結び目 ,養生側走った枝座布団結び目を入れた

結び目の終りは金紗(金糸)を回した指輪で結末をつけた. 梅中央に付けていた珊瑚 1個は結実された状態だ.


2,,白玉 双蝶ノリゲ


蝶形態がすかしぼりされた白玉版(白玉板) 2個を 上下で連結して作ったノリゲだ

上に薄ら板金を透彫など技法で蝶の体つきと羽を 1個を作って付けた


蝶の身は孔雀石(孔雀石)と珊瑚を領地(霊芝)形態への難集に嵌めこみして

その間は金属の火刑(花形)飾りを付けてビツィモ(翡翠毛 : カワセミの毛 )で飾った


胸の上の下で 霊芝 形態を作って小さな真珠で目ができた両羽端で広がって行った 5兆線に 翡翠毛で飾った

体つき上部の目はとても小さな真珠 2個を附着して表現した


羽の四角に天然の大きい真珠 2個と小さな真珠 2個を附着して飾った


結び目は宮の中で主に使われるクンモックノリゲとして白玉サングヨングムンノリゲと一緒に

養生側結び目 ,到来結び目, セングチォック結び目, 養生側走った枝座布団結び目を入れた.

結び目の終りは金紗を回した指輪で仕上げを作った


3.珊瑚ノリゲ


行か二重になっている天然珊瑚の模様を利用して作った単作ノリゲだ

珊瑚には開化以前梅を彫り上げしたし, 珊瑚の上部は銀を叩いて竜頭を作って着せて

その終りを結び目お酒(流消)に連結させた.

ティドン (帯金)には大きな真珠を挟んで飾った.


結び目は宮の中で主に使われるクンモックノ−リゲとしてドロックセック紐で

養生側結び目, 到来結び目, セングチォック結び目, 養生側走った枝座布団結び目を入れた. 結び目の終りは金紗を回した指輪で結末をつけた






栄親王妃 大三作ノリゲ


三作ノリゲは大きさによって 大三作 ノリゲ 中三作ノリゲ 少三作ノリゲで区分する







노리개 (佩物)

 

 

 노리개의 기원 


노리개의 기원은 삼국시대 요패에서 찾을 수 있는데 요패는 上衣에 허리띠를 두르고 그 허리띠에 여러 종류의 장식을 다는 것이다


신라 고려 조선시대를 지나면서 上衣의 저고리 길이가 짧아져 삼국시대에는 허리에 달았던 것을

조선시대에는 저고리 고름에 매달거나  치마 허리에  묶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저고리 고름에 다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것은 고려시대 노리개이다 


아름다운 오방색과 바느질의 흔적이 남아있는 바늘집 노리개이다 

18개의 직물이 조각 조각 엮여 있고 직물에는 금실(金絲)의 자수(刺繡)무늬가 새겨져 있다 


충남 청양 장곡사 (長谷寺)의  불상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배 속에서 발견되었다

장곡사는 850년 신라  文聖王  때에 처음 지어졌는데 노리개가 발견된 불상은 14세기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다고 한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고려시대 귀부인들은 허리띠에 금탁(金鐸) 금향낭 (金香囊)을 착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노리개 


한복의 저고리 고름(上衣 옷 자락을 고정시키기 위해 묶는 끈)에 매달거나 치마 허리에  묶었던 장식품이다 

單作 노리개는 1개의 노리개를 말하는 것이고  ,노리개를 3개 묶어 장식한 것은 三作노리개, 5개를 묶어 장식한 것은  五作 노리개 라고 한다 


노리개는 짝수로  묶지  않고 홀수로  묶어  장식한다 

노리개는 실용적 목적의 노리개가 있고 장식용이 목적인 노리개가 있다 


1,.실용적 노리개


실용적 노리개에는  <장도(粧刀)노리개> ,<침통(鍼筒)노리개>, <바늘 집 노리개> ,<향갑 노리개>등이 있다



숙명여대 박물관  장도(粧刀) 노리개 


1) 장도(粧刀)노리개 ← 장도는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작은 칼인데 몸을 보호하기 위한 호신용으로 이용되었다 

장도(粧刀)노리개는 가격이 비싸 상류층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2) 침통(鍼筒)노리개 :←鍼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응급시애 사용되었다 




국립 민속 박물관 .바늘집  刺繡  노리개 


3) 바늘집 노리개 :←바늘집은 바늘을 보관하기 위한  용구이다 옷감으로 만든 주머니에 바늘을 넣어 보관하는데

바늘이 녹슬지 않도록  분가루를 넣기도 한다 

여성들이 바늘을 찾기  쉽고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노리개로 만들었다 장식용으로도 되고 실용적으로 되는 노리개 


4) 향갑(香匣)노리개 ← 향갑은 향을 담은 匣이다 향은 사향 옥추단 목향 등을 사용했다 


향기가 있는 사향 등을  약초와  섞어 반죽하여 만든 한충향(漢沖香)을  금실로 엮고 흰 말총으로 만든 집에 넣어 

노리개로 만들어 휴대하기에 편리하게 하였다  향갑 노리개는   향기가 나오는 기능도 되고 응급시에 구급약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향갑의 형태는 표면이 딱딱하고 네모 반듯한  상자 형태 또는  둥근 형태의 원형이 있다 

문양은 나비 박쥐 매미 석류 천도 투호(投壺), 화준(花罇), 서각(犀角 )등의 형태가 있다



1815년 제작된 평양 기생 계월향 [桂月香]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장수 고니시 히 [小西飛]를 참수 하는데 공을 세우고 자결 했다고 한다

저고리 고름에 달린 노리개는 香匣 노리개라고 한다



조선시대 1750년.  刺繡 편복 향갑(香匣) 노리개


2 .장식용의 노리개 



장식용 노리개에는 ,<방아 다리 노리개>, <刺繡노리개><호랑이 발톱 노리개> <삼천주 노리개><투호 노리개>등이 있다 


1) 방아다리 노리개 :←여성 소유의 농기구 방아를 노리개에 옮긴 것인데 노리개 처럼 일을 사랑하라는 의미라고 한다


2) 자수(刺繡)노리개 ←주로 서민층에서 애용되었다 

어머니들의 바느질 솜씨로 옷감에 刺繡를 놓아 장식하였다


3) 호랑이 발톱 노리개 :←호랑이는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용과 함께 신성한 존재로  여겼다

예리한 발톱은 나쁜 일을 막아 주고 악귀를 쫓아 준다고 믿었다  

실제로 호랑이 발톱은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銀 등 재료를 사용해 호랑이 발톱 모양을 만들어 노리개의 주체로 사용하였다 


석주선 기념관  ..< 銀투호  三作 노리개  >  조선시대 1700년 


4)  투호 노리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항아리를 놓고 그 항아리 안에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다 

이 놀이는  궁중의 왕족이나 궁녀들도  즐겼다  항아리 안에 액(厄)을 담아 쫓는다는 의미라고 한다 




국립중앙 박물관  .삼천주  (三千珠)노리개


5) 삼천주 (三千珠)노리개 :← 큰 진주  3개의 구슬을  꿰어 큰 술에 다는 노리개이다 

三千은  불교에서 거대한 우주 즉 삼천대천세계를 말한다 

삼천주 노리개는 왕비만 착용할 수 있는 것인데 기녀들도 은밀히 사용했다고 한다 


18세기 화가 신윤복 [申潤福]의 미인도


노리개를 만지고 있다 이 그림의 노리개는 조선시대 왕비만 착용할 수 있었던 삼천주(三千珠) 노리개로 짐작된다

삼천주 노리개는 왕비만 착용할 수 있는 것인데 기녀들도 은밀하게 착용했다고 한다 

 


 

 

조선시대  기녀

오른쪽 여성 삼작 노리개를 착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1904년 러일전쟁 당시 취재를 위해  조선에  왔던  미국의 작가 (잭 런던)이 찍었다고 한다 

참고로 신분이 높은 양반이나 궁중 여인들은 치마를 묶어 올리지 않는다


당시 조선에 왔던  서양  선교사나 기자 작가들이 찍은 여성 사진은 대부분 서민이거나 기녀 사진이다

양반 부인들은 외출을 잘 하지 않았고 .또  외국인 남자들을 보면 도망을 가거나 피했기 때문에 말을 걸거나

사진을 찍기 어려웠다고 한다 

드믈게 양반집 부인들을 만나도 사진 찍기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평안북도 자성군  여성들  .1912년 


 

기녀

노리개 패용하고 있다 



1930년대 사진 

 머리에 화관을 쓰고 노리개를 착용한  여성2명은 기녀라고 한다 

치마 허리에 노리개를 묶었다

 

 


엘리자베스키스의 그림  조선의 공주



영친왕비 단작(單作)노리개 


왼쪽부터  1. <밀화 불수 (蜜花 佛手) 노리개> . 2  <백옥 雙나비 노리개 >  3.  <산호 노리개>


1. 蜜花 佛手 노리개


 佛手가 주체가 되는 단작 노리개

밀화(蜜花)를 사용하여 佛手 형태로 만들고 그  불수(佛手)위에 모란과 박쥐 2마리가 조각되어 있다 상부에는 도금된 

은을 망사 기법으로 만들고 뚜껑 처럼 덮었다 

뚜껑 부위에는 양쪽면에 매화 2개씩 잎사귀를 표현하였다 


매화는 여러 겹으로 표현했는데 아래 표현된 매화는 금속판을 만들고 그 위를 비취모(翡翠毛 : 물총새의 털 )로 장식하였다 

위에 표현된 매화는 망사 기법으로 처리한 후 중앙에 작은  산호를 붙였다 


밀화(蜜花) 밀쪽으로  퍼진 잎새에는 비취모(翡翠毛)로 장식하였다  띠돈에는 백옥판(白玉板)에 정면을 향한 용을 투조하여 넣었다.


매듭은 궁중에서 주로 쓰이는 끈목노리개로서 두록색 끈으로 양생쪽 매듭.  도래  매듭 , 생쪽 매듭 ,양생쪽 달린 가지 방석 매듭을 넣었다

매듭의 끝은 금사(金絲)를 돌린 가락지로 마무리 지었다. 매화 중앙에 붙여 있던 산호 1개는 결실된 상태이다.


2,,白玉  雙나비 노리개 


나비 형태가 투각된 백옥판(白玉板) 2개를 上下로  연결하여 만든  노리개이다 

위에 얇은 금속판을 투조 등 기법으로 나비의 몸체와 날개를 1개를 만들어  붙였다 


나비의 몸은 공작석(孔雀石)과 산호를 영지(靈芝)형태로의 난집으로  감입하고

그 사이는 금속의 화형(花形)장식을 붙이고  비취모(翡翠毛 : 물총새의 털 )로 장식하였다 


가슴 위 아래로 靈芝 형태를 만들고  작은 진주로 눈을 박았다 양쪽 날개 끝으로 퍼져나간  5조 선에  翡翠毛로 장식하였다 

몸체 윗부분의 눈은 아주 작은 진주 2개를 부착하여 표현하였다


날개의 네 모서리에 천연의 큰 진주 2개와 작은 진주 2개를 부착하여 장식하였다


매듭은 궁중에서 주로 쓰이는 끈목 노리개로서 백옥 쌍용문 노리개와 같이

양생쪽 매듭 ,도래 매듭, 생쪽 매듭, 양생쪽 달린 가지 방석 매듭을 넣었다.

 매듭의 끝은 금사를 돌린 가락지로 마무리를 지었다


3.산호 노리개 


가지가 이중으로 되어있는 천연 산호의 모양을 이용하여 만든 단작 노리개이다

산호에는 개화 이전   매화나무를 양각하였고, 산호의 윗부분은 은을 두들겨서 용 머리를 만들어 씌우고

그 끝을 매듭 술(流消)에 연결시켰다.

 띠돈 (帶金)에는 커다란 진주를 끼워 장식하였다. 


매듭은 궁중에서 주로 쓰이는 끈목노리개로서 두록색 끈으로

양생쪽 매듭, 도래매듭, 생쪽  매듭, 양생쪽 달린 가지 방석 매듭을 넣었다. 매듭의 끝은 금사를 돌린 가락지로 마무리 지었다






영친왕비 大三作노리개


三作노리개는  크기에    따라  大三作 노리개 中三作노리개  少三作노리개로 구분한다 








TOTAL: 8872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8892
No Image
作成中1 (1) nnemon2 06-26 14 0
8891
No Image
作成中2 (1) nnemon2 06-26 13 0
8890
No Image
作成中3 (1) nnemon2 06-26 13 0
8889
No Image
弥生美術館 マツオヒロミ展他1 nnemon2 06-26 40 0
8888
No Image
弥生美術館 マツオヒロミ展他2 nnemon2 06-26 38 0
8887
No Image
弥生美術館 マツオヒロミ展他3 nnemon2 06-26 38 0
8886
No Image
東京の歴史のあるデパート他 nnemon2 06-25 67 0
8885
No Image
古い欧州の服を元にしたコスプレ衣....... nnemon2 06-25 62 0
8884
No Image
可愛くてごめん・日本の古い子犬の....... nnemon2 06-25 64 0
8883
No Image
泉 鏡花・弥生美術館他 nnemon2 06-25 62 0
8882
No Image
着物(日本の女性向けの伝統衣装)....... nnemon2 06-25 61 0
8881
No Image
中原 淳一/高畠 華宵 nnemon2 06-25 65 0
8880
No Image
近代着物展他前編 nnemon2 06-24 805 0
8879
No Image
近代着物展他後編 nnemon2 06-24 387 0
8878
No Image
東京国立博物館1 nnemon2 06-24 311 0
8877
No Image
東京国立博物館2 nnemon2 06-24 291 0
8876
No Image
東京国立博物館3 nnemon2 06-24 264 0
8875
No Image
東京国立博物館4 nnemon2 06-24 265 0
8874
No Image
ノリゲ (佩物) (3) namgaya33 06-23 375 0
8873
No Image
清道 雲門寺 (3) namgaya33 06-19 59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