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紹介 Relationship

종이접기의 기원도 한국

http://origami.or.kr/english/paper/paper2_fs.html


Jibang folding was a necessary requirement of etiquette for the descendants to have receive the ancestorial worship ceremony(Je-sa), and ancestor-memorial rites(Cha-re). Jibang Folding was handed from grandfather to father, from father to son, and from son to grandchild. This is one kind of Korean traditional folk custom and it seems to be an origin of  paper folding.

Also, dwelling styles show how closely Koreans lived with papers. Korea has a very intimate relation with paper, because people used paper for making wallpaper as well as windows. Korea is the most intimately related with the paper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t is not certain when and where the folding paper began.

We can assume that man folded paper as soon as paper was
invented.  japan learned the method to make
the paper from Damjing,
a Korean monk, during the Corea period.
Then the Japanese produced quality paper and developed paper folding themselve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Japan published books about paper folding (1797). At present, there are a lot of professional publishing companies producing books about paper folding. Also, there are also a lot of societies for the study of paper folding. And they do a study in foreign languages, so paper folding is famous as "Origami" around the world.

Korean paper folding has continued as a custom because it has been written as a part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But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Japan obliterated all aspects of Korean culture. So the Korean paper folding culture was banished during this period. But finally breaking a long silence, the paper folding culture was reviv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aper Folding Organization in March, 1989. It is necessary for us to excavate the past traditional paper folding as well as to exhibit the creative paper art work. In this way, paper folding can be improved greatly.

대역

 

방(치반) 때는, 조선숭배 의식(제사=체사)과 선조 공양 의식(차례=체레)을 행하는 자손에게 있어서, 필수의 예의였습니다. 지 방때는 조부로부터 부친, 부친으로부터 아들, 그리고 아들로부터 손자에게 전할 수 있어 왔습니다. 이것은 한국의 전통 민속의 일종이며, 종이접기의 기원이라고 생각됩니다.

, 거주 양식으로부터, 한국인이 얼마나 종이를 가까이에 하며 살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이 종이와 매우 친한 관계에 있는 것은, 창 뿐만이 아니라 벽지를 만드는데도 종이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입니다. 한국은 토호쿠 아시아 3국 가운데, 가장 종이와 친한 관계에 있습니다.


종이가 발명되자 마자, 사람들은 종이를 접기 시작했다고 생각됩니다.  일본은 고구려시대에 한국의 승려, 무대막으로부터 종이를 만드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 후, 일본인은 질이 좋은 종이를 생산해, 자신들로 종이접기를 발전시켰습니다. 일본은 1797년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종이접기에 관한 책을 출판했습니다. 현재, 종이접기에 관한 책을 만드는 전문 출판사가 많이 있습니다. 또, 종이접기를 연구하는 단체도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그들은 외국어로 연구를 행하고 있기 위해, 온 세상에서 「Origami」로서 알려져 있습니다.


국의 종이접기는, 초등학교의 교과서 및 교사의 가이드 북의 일부로서 쓰여져 있었기 때문에, 풍습으로서 존속해 왔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식민지 시대,일본은 한국의 문화를 전면적으로 말살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의 종이접기 문화는 이 시대, 배척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마침내 긴 침묵을 찢어, 종이접기 문화는 1989년 3월의 「한국 종이접기 협회」의 설립과 함께 부활했습니다. 창조적인 종이의 작품을 출전할 뿐만 아니라, 과거의 전통적인 종이접기를 발굴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하고, 종이접기는 크게 발전할 것입니다.



TOTAL: 10120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1280 ■正しい文の読み方、あるいは差異....... yonaki 2009-02-23 2490 0
1279 re:おまけのおまけのおまけ Tiger_VII 2009-02-23 1761 0
1278 不| ´д`) <ハアアアアアアアア....... anago 2009-02-23 2008 0
1277 おまけ Tiger_VII 2009-02-23 2620 0
1276 re:よく見ると似ている気がする w Tiger_VII 2009-02-23 2076 0
1275 【さよなら】エンコリ Tiger_VII 2009-02-23 2543 0
1274 元気が無くしなびたアレには・・・ oouso800. 2009-02-23 2234 0
1273 ( *H*)y-‾‾謎のメモ kimuraお兄さん 2009-12-25 1883 0
1272 倭倭 という国名前はどんなに生じた....... tiken22 2009-02-23 1989 0
1271 ( ^д^)<じーーーーw farid 2009-02-23 2446 0
1270 近来、見た事がない火病 ジョン_ 2009-02-23 5454 0
1269 ( *H*)y-‾‾晩酌 kimuraお兄さん 2009-02-22 2031 0
1268 re:あべろさんのフィギュア発見 Tiger_VII 2009-02-22 1897 0
1267 日本人たちはここまで追われて来て....... ibmsama 2009-02-22 2614 0
1266 【似非数学板】今日の数学者 Tiger_VII 2009-02-22 2402 0
1265 【一発書き】たこルカというものが....... ジョン_ 2009-02-22 2424 0
1264 列島の 800年初盤以前時代の社会はど....... tiken22 2009-02-22 2891 0
1263 昨晩の結果 董젯 2009-02-22 2444 0
1262 日野君が代伴奏裁判訴訟(wiki) あべる 2009-02-22 1839 0
1261 このスレはサルベージしておいたの....... ジョン_ 2009-02-22 32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