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紹介 Relationship

한국의 탈

나무·흙·종이 등으로 만든 사람이나 동물 얼굴의 형상.

방상시탈 : 악귀를 쫓기 위해 나례나 상례 때 ...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가장 오래된 탈로는 부산 직할시 영도구 동삼동에서 출토된 패면(貝面)과 강원도 양구군에서 출토된 토면(土面) 등 신석기시대의 유물이 있으며, 이보다 후대의 것으로는 6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는 옻칠을 한 나무탈이 있다. 이는 1946년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고분인 호우총(壺塚)에서 출토된 탈로, 눈알은 유리이고 두 눈에는 황금으로 된 환(環)이 둘러져 있으며 "방상시"탈로 추정되고 있다. 또 경상북도 안동군 풍천면 하회마을과 병산마을에서 별신굿 때 쓰던"하회탈 및 병산탈"은 그 제작시기가 고려 중기(11~12세기)로 추정되고 있다. 탈의 제작에 있어서 신성한 용도의 탈이나 서낭신제의 탈은 나무를 깎고 다듬어 조각하고 채색을 했으며, 구나(驅儺)용의 탈은 가죽·종이·대나무 등으로 만들어 헝겊, 나무, 짐승의 털, 쇠붙이 등으로 가공하고 채색했다. 또 춤에 쓰인 탈은 주로 종이로 만든 뒤 털·쇠붙이 등으로 장식하고 채색했으며 연극용의 탈은 바가지·종이·나무·가죽으로 만들어 여러 가지 재료로 장식·채색했다. 중부지방의 산대탈은 주로 바가지였고, 황해도 지방의 탈은 종이를, 영남지방의 오광대와 들놀음[野遊]탈은 종이와 바가지를 주로 사용했으며, 대바구니와 모피도 이용했다. 한국의 대부분의 탈은 표정이 고정되어 있는데 방상씨탈의 눈알, 산대가면극의 눈끔적이탈의 양쪽 눈, 마산오광대 탈놀이의 턱까불탈의 턱, 수영들놀음의 수양반(首兩班)탈의 턱,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선비·양반·중·백정 탈의 턱 등은 움직여 탈의 표정을 바꿀 수 있어 움직이지 않는 탈보다 좀더 사실적이다. 탈의 색깔은 붉은색·검은색·푸른색·노란색·갈색·흰색 등의 오방색이 주로 쓰였다고 한다.

 

 

 

      

 

 

 

 

 

 

   



TOTAL: 10118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698 アンケート結果♪ infy 2009-01-15 2631 0
697 土人とは何だ3 sas_mi6 2009-01-15 3681 0
696 【完全無欠の雑談】擬似南国気分。 フキハラ 2009-01-15 3635 0
695 ( ^д^)<おはようございますw farid 2009-01-15 2688 0
694 サルベージ( ´H`)y-‾‾ ジョン_ 2009-01-15 2571 0
693 ここんとこひぼこを見ない・・・ super_aaa 2009-01-15 2644 0
692 知とは何か。 sas_mi6 2009-01-14 2331 0
691 天気が凄い stranger Z 2009-01-14 2249 0
690 (* ina君 2009-01-14 2119 0
689 (* ina君 2009-01-14 2181 0
688 ( ^д^)<じーーーーw farid 2009-01-14 2141 0
687 ( ´H`)y-‾‾漢とは! kimuraお兄さん 2009-01-14 3021 0
686 (* ina君 2009-01-14 2147 0
685 はじめまして(^o^) dojinx 2009-01-14 3180 0
684 asconeの連続投稿?ソ¥ウル大で土下座....... ジョン_ 2009-01-14 2810 0
683 こういう場所では。 ジョン_ 2009-01-14 2957 0
682 あべろばし( ´H`)y-‾‾ ジョン_ 2009-01-14 3462 0
681 同好会に招待を受けた方はこれ方へ......... yetopa 2009-01-14 2131 0
680 今日の天気の写真ですね, 午前に使っ....... krisunaa1 2009-01-14 2493 0
679 バッテリーが... stranger Z 2009-01-14 2194 0